클라우드를 쓰다 보면 어느 순간 스토리지 용량이 부족해지는 경우가 생겼다. 실제로 사용 중이던 디스크가 100GB였는데, 더 많은 데이터의 저장이 필요해서 200GB로 확장을 했다. 그런데 문제는 클라우드 콘솔에서 용량을 늘렸는데도, 서버에서 df -h를 찍어보니 여전히 100GB로만 보인다는 것이다. 해결방법을 간단히 정리해본다. (환경은 XFS 파일시스템, /home 디렉터리)클라우드 콘솔에서 디스크 용량만 늘리면 OS에는 블록 ...
Read More2016년 1월, GTD를 처음 구입했을 때는 이렇게 오래 함께할 줄 몰랐다. ‘디젤 해치백이 얼마나 버틸까?’라는 의문과 함께 시작했는데, 이제 주행거리는 20만km를 넘어섰다. 출퇴근, 장거리 주행, 고속도로와 시내 주행은 물론, 때로는 캠핑까지도 이 차와 함께했다.지금까지의 튜닝 내역, 주요 정비 기록, 자잘한 문제들, 그리고 앞으로 예상되는 수리 계획을 정리한다.현재까지 튜닝 현황올린즈 서스펜션가장 만족도가 큰 튜닝이...
Read MoreMariaDB를 리포지토리(repo) 방식으로 설치하면 기본적으로 데이터 디렉토리가 /var/lib/mysql에 생성됩니다. 하지만 운영 환경에서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데이터 디렉토리를 다른 위치로 옮겨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왜 ??스토리지 공간 부족/var/lib는 보통 OS 디스크(루트 파티션)에 존재합니다. DB 데이터가 쌓이면 루트 디스크가 가득 차 시스템 전체에 장애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별도의 데이터 디스크(/data 등)를 마운트...
Read MorePolestar Ride 행사에 당첨되어 2박 3일간 차량을 운행해볼 기회를 갖게 되었다. 폴스타4 싱글모터 차량이었다. 2박 3일간 폴스타4를 주행하며 느낀 점.핸들첫 느낌? 딱딱하다. 손에 감기는 느낌이 아프다.폭신한 느낌은 없고 손에 잘 감기지도 않아서, 운전 5분 만에 손바닥이 아팠음.‘운전’보다 ‘잡고 있다’는 감각에 집중하게 되는 이상한 느낌…AI 시스템 ARIASK랑 협업한 인포테인먼트 AI라고함. 웬만한 기능은 음성으로 거의 ...
Read More이오플로우는 세계에서 두 번째로 무선 인슐린 펌프를 상용화한 혁신적인 의료기기 제조 기업이다. 대표 제품인 ‘이오패치(EOPatch)’는 웨어러블 인슐린 주입기로, 기존의 복잡하고 불편한 유선 인슐린 펌프를 대체할 혁신적인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2011년 설립된 이오플로우는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 특히, 유럽 및 아시아 시장에서의 성공적인 판매에 이어 세계 최대 당뇨 시장인 ...
Read MorePHP 세션을 사용할 때, 세션 쿠키의 보안 설정은 매우 중요하다. 특히 Secure와 HttpOnly 플래그를 적절히 설정하지 않으면 보안 취약점에 노출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PHP에서 Secure와 HttpOnly 설정의 중요성과 쿠키가 두 번 설정되는 문제와 그 해결 방법을 함께 설명한다.Secure 플래그란?Secure 플래그는 쿠키가 HTTPS 연결에서만 전송되도록 하는 설정이다. 이를 통해 암호화되지 않은 HTTP 연결에서 쿠키가 전송되지 않도...
Read MoreLet's Encrypt 는Let’s Encrypt는 무료로 SSL/TLS 인증서를 제공하는 비영리 인증 기관(Certificate Authority, CA)입니다. 2016년에 Electronic Frontier Foundation(EFF), Mozilla, Cisco, Google, Facebook 등 여러 조직의 지원을 받아 시작되었습니다. Let’s Encrypt의 주요 목표는 웹의 보안을 강화하고 HTTPS 사용을 촉진하여 인터넷을 보다 안전하게 만드는 것입니다.주요특징무료 인증서 제공: 웹사이트 소유자들은 비용 ...
Read Morenginx의 location 디렉티브는 클라이언트로부터 들어오는 요청을 경로(URL) 기준으로 처리하는 중요한 기능 중 하나이다. 서버가 다양한 요청을 적절히 처리하기 위해서 요청경로에 따라 다른 설정을 적용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정적인 파일을 특정 디렉토리에서 제공하거나, 특정 API요청을 백엔드 애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하는 것과 같은 상황에서 location 디렉티브를 사용하게 된다. location 기본 개념특정 경로 또...
Read MoreSSL은 서버와 클라이언트간의 통신을 암호화하는 기술이다. 이를 통해 데이터가 전송되는 동안 도청, 변조, 위조와 같은 보안위협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SSL 은 일반적으로 웹사이트에서 HTTPS를 통해 구현되며, 사용자와 서버간의 안전한 데이터 교환을 보장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렇다면 왜 SSL을 써야할까? SSL 을 써야 하는 이유를 몇가지 적어보자면..데이터보호를 위해SSL 은 클라이언트와 서버간의 데이터를 암호...
Read More웹사이트의 보안을 강화하는 것은 웹 개발에서 필수적인 요소이다. 특히 HTTPS 를 통해 안전한 통신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한 핵심적인 기술로 HSTS 라는 것이 있다.HSTS란?HSTS는 HTTP Strict Transport Security의 약자로 웹사이트가 오직 HTTPS 프로토콜을 통해서만 접근되도록 강제하는 보안 메커니즘이다. 이를 통해 HTTP 프로토콜로의 접속을 막고, HTTPS 를 통한 안전한 통신을 보장한다. HSTS 는 클라이언트(...
Read More